강원지방경찰청(청장 최종헌)은 사회적 약자 실종 예방과 조기 발견을 위해 치매환자, 지적‧정신‧자폐성 장애인 대상으로 배회감지기를 확대 보급한다고 밝혔다.
이미 '16년부터 강원도청,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업하여 장기요양등급(배회감지기 수급 가능하다는 판단)을 받은 치매환자에게 배회감지기를 보급했고, 이로 인해 매년 증가하던 실종 치매환자 발생이 '16년부터 감소하는 효과로 이어졌다. 다만, 배회감지기 보급 대상이 장기요양등급 인정자로 한정되어 실종에 취약한 장기요양등급 인정자 外 치매환자와 정신‧지적‧자폐성 장애인은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질 위험이 높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강원지방경찰청은 강원지역치안협의회와 협업하여 사회적 약자에 대한 실종 예방 대책을 마련했다.
배회감지기 보급 대상자를 실종에 상당히 취약한 반면, 제도적으로는 소외되어 있는 장기요양등급 外 치매환자, 지적‧정신‧자폐성 장애인으로 확대했고, 분실 우려를 최소화하고, 이용자들의 착용 거부감을 줄이기 위해 디자인과 부착방법을 개선했다.
배회감지기 신청을 위해서는 장기요양등급 外 치매환자와 지적‧정신‧자폐성 장애인 보호자가 가까운 경찰서(여청계)를 방문해 신청하면 되고, 기기와 3개월간 사용료를 무료 지원받을 수 있다.
장기요양등급(배회감지기 수급 가능하다는 판단)을 받은 대상자의 보호자는 기존과 같이 가까운 경찰서(여성청소년계)나 보건소에 신청하면 된다.
이와 관련, 강원지방경찰청은 지역사회와 함께 힘을 모아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더욱 공고히 하여 치매환자를 비롯한 사회적 약자가 안전하고 행복한 강원도를 위해 계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미 '16년부터 강원도청, 국민건강보험공단과 협업하여 장기요양등급(배회감지기 수급 가능하다는 판단)을 받은 치매환자에게 배회감지기를 보급했고, 이로 인해 매년 증가하던 실종 치매환자 발생이 '16년부터 감소하는 효과로 이어졌다. 다만, 배회감지기 보급 대상이 장기요양등급 인정자로 한정되어 실종에 취약한 장기요양등급 인정자 外 치매환자와 정신‧지적‧자폐성 장애인은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질 위험이 높은 것이 현실이다. 이에, 강원지방경찰청은 강원지역치안협의회와 협업하여 사회적 약자에 대한 실종 예방 대책을 마련했다.
![]() |
배회감지기 신청을 위해서는 장기요양등급 外 치매환자와 지적‧정신‧자폐성 장애인 보호자가 가까운 경찰서(여청계)를 방문해 신청하면 되고, 기기와 3개월간 사용료를 무료 지원받을 수 있다.
장기요양등급(배회감지기 수급 가능하다는 판단)을 받은 대상자의 보호자는 기존과 같이 가까운 경찰서(여성청소년계)나 보건소에 신청하면 된다.
이와 관련, 강원지방경찰청은 지역사회와 함께 힘을 모아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더욱 공고히 하여 치매환자를 비롯한 사회적 약자가 안전하고 행복한 강원도를 위해 계속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